728x90
iptables 명령어는 휘발성이다...
기껏 잘 등록했던게 날라가면 억까아니겠는가?
물론 텍스트에 저장할수도있지만.
# 먼저 명령어 두개를 소개하려한다
# 바로 쓰지말고 일단 보자
# 규칙을 저장할 디렉터리를 만든다. 별거는 아니다
mkdir /rule
# iptables에 작성한 규칙을 /rule 디렉터리 밑에 rules 파일로 만든다
iptables-save > /rule/rules
# rules 파일을 iptables에 불러온다
# 이 명령어는 바로 쓰지말고 시스템 파일에 등록할 것이다
iptables-restore < /rule/rules
✨ 위의 저 커맨드 라인 명령어에서 리스토어 부분을 시스템 파일에 등록해서 대신 쳐줫으면한다
mkdir /rule
# iptables에 작성한 규칙을 /rule 디렉터리 밑에 rules 파일로 만든다
iptables-save > /rule/rules
# 일단 가서 탐색하라
cd /etc/systemd/system
# 온갓 서비스가 보일거다
ls
# iptables-restore.service 파일을 작성한다
nano iptables-restore.service
# 또는
vi iptables-restore.service
# 다음을 입력한다
[Unit]
Description=Restore iptables rules
After=network.target
[Service]
Type=oneshot
ExecStart=/sbin/iptables-restore /rule/rules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 저장하고 닫는다
# 시스템 데몬 리로드
systemctl daemon-reload
# 우리가 만든 시스템 시작
systemctl start iptables-restore.service
# 시스템 상태 확인
systemctl status iptables-restore.service
# 부팅시 자동 실행 설정
systemctl enable iptables-restore.service
참고로 ExecStart 부분은 명령어 절대경로와
명령어의 인자이다
# 재부팅 전 iptables 규칙 확인
iptables -nL
# 서버 재시작
reboot
# 재부팅 후 iptables 규칙 확인
iptables -nL
728x90
'리눅스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inx] nginx 명령어 (systemctl 사용 안하고) (0) | 2024.07.25 |
---|---|
하드디스크를 추가하고 파티션을 나누어보자 (2) | 2024.02.02 |
iptables 사용법 (1) | 2024.01.29 |
Samba Server 를 구축해보자 (우분투, Ubuntu) (0) | 2024.01.28 |
Docker 명령어 (1) | 2023.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