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석과 코드로 설명하였다.

 

console.log();는 출력 메소드로 

자바에서 System.out.println();과 유사하다.

 

마지막에 console.log("meat" in box); 는 객체리터럴을 담은 box라는 변수에

meat라는 프로퍼티 이름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있으면 true 없으면 false를 리턴한다.

water는 17번행에서 삭제하기에 false를 리턴한다.

728x90

'개발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열 생성  (0) 2021.04.21
객체 생성 방법 2  (0) 2021.04.21
데이터 타입의 분류  (0) 2021.04.20
변수 선언 방법  (1) 2021.04.20
제이쿼리 참고사이트  (0) 2021.04.16
728x90

자바스크립트에서 데이터 타입은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1. 원시 타입

=> 숫자(JAVA의 double만 존재), 문자열, 논리값, undefined, null , 심벌(ES6)

값을 바꿀 수 없다

 

 

2. 객체 타입

=> 배열, 함수 , 정규 표현식

값을 바꿀 수 있다.

 

 


ES6 에서 등장한 

심벌에 대해서 알아보자

 

유일 무이한 값을 만들때 사용하는데 그냥 아래 두줄의 코드만 보고 이해하자.

 

Symbol은 추가된 데이터 타입이다.

 

var sym1 = Symbol();

특이하게 Symbol()을 호출하여 값을 담는데, 또다른 변수에 똑같이

 

var sym2 = Symbol();  

한다면 서로다른 값이 담겨있다 , 즉 호출 할 때마다 새로운 값이 담겨진다 .

 

후에 책을더보고 수정하겠다. 

 

참고 ( 모던 자바스크립트 입문 , 이소 히로시 지음)

728x90

'개발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 생성 방법 2  (0) 2021.04.21
객체 생성 방법 1  (0) 2021.04.20
변수 선언 방법  (1) 2021.04.20
제이쿼리 참고사이트  (0) 2021.04.16
AJAX로 HTML태그 조작하기  (0) 2021.04.15
728x90

 

728x90

'개발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 생성 방법 1  (0) 2021.04.20
데이터 타입의 분류  (0) 2021.04.20
제이쿼리 참고사이트  (0) 2021.04.16
AJAX로 HTML태그 조작하기  (0) 2021.04.15
Node.js 설치  (0) 2021.03.18
728x90

http://www.devkuma.com/books/pages/217

728x90

'개발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 생성 방법 1  (0) 2021.04.20
데이터 타입의 분류  (0) 2021.04.20
변수 선언 방법  (1) 2021.04.20
AJAX로 HTML태그 조작하기  (0) 2021.04.15
Node.js 설치  (0) 2021.03.18
728x90

 

 

 

728x90

'개발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 생성 방법 1  (0) 2021.04.20
데이터 타입의 분류  (0) 2021.04.20
변수 선언 방법  (1) 2021.04.20
제이쿼리 참고사이트  (0) 2021.04.16
Node.js 설치  (0) 2021.03.18
728x90

다음 링크로 이동한다!

nodejs.org/ko/download/

 

다운로드 |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이후 자신의 운영체제 맞는걸 클릭한다

클릭하면 자동으로 다운이 된다 :)

 

의식의 흐름대로 설치하면된다

 

금방끝나네여

 

728x90

'개발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 생성 방법 1  (0) 2021.04.20
데이터 타입의 분류  (0) 2021.04.20
변수 선언 방법  (1) 2021.04.20
제이쿼리 참고사이트  (0) 2021.04.16
AJAX로 HTML태그 조작하기  (0) 2021.04.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