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오늘은 지난번에 이어서 좀더 자세하게 설명해보려한다.

 

일단 WEB-INF 밑에 web.xml이 있을것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호출시(url패턴에맞게)

서블릿 컨테이너가 DispacherServlet(디스페쳐 서블릿)을 생성하는데

이를 톰캣이 가진 DispacherServlet(디스페쳐 서블릿)이 아닌 , 우리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할거기때문에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DispacherServlet(디스페쳐 서블릿)을 써야한다 그렇기 때문에 web.xml에 등록해야한다.

 

 

여기서 action에 형광팬에 칠해져있는데 이는 이름이고

클라이언트가  ~~~~.do 로 웹URL에 입력해서 호출했을때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을 생성한다는거다

그아래 init-parm은 읽어들일 설정파일 내용인데

컨트롤러 관련된 내용이 들어있다.

 

위의 내용은 주로 DB랑 연동되는 부분을 처리하기위해서 적어주는데

root-context.xml 파일에 DB관련된 내용을 정의한다.

그리고 주로 bean을  정의한다

 

리스너 설정이다.

위와 쌍으로 기억해두자

 

 

다음은 인코딩관련해서 필터링설정이다 다국어를 처리하기위해서 작성한다.

 

이건 남이 읽기에 선수지식이 있지않고서 도움이안될내용이지만

나를 위한 복습차원에 블로그에 작성한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