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을 알아보자
배열은 말그대로
데이터를 나열하는것인데~
이때 ! 같은 타입끼리만 사용한다는것이다
숫자배열, 문자배열 이런식으로 존재할 수 있다.
배열은 크기가 고정되기때문에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려면
새로운 배열을 생성해서 넣어줘야한다 (단점, 이를위해 ArrayList를 사용한다)
예를들어보자
arr이라는 배열에 0 , 1 , 2 , 3 , 4 이라는 "값"이 들어있다고 쳐보자
우리는 이 나열된 내용을 하나씩 이름을 붙여 가르키고싶다.
이때 사용되는 용어가있는데 인덱스이다
0은 첫번째 인덱스 (배열의 첫번째 요소를 0번째라고 지칭한다)
1은 두번째 인덱스
2는 세번째 인덱스
3은 네번째 인덱스
4는 다섯번째 인덱스
배열의 생성
new int[5]; 이라고하면 int 타입으로 5개를 저장크기를 메모리에 생성하는것이다.
그리고 이 메모리의 주소값을
int[] 변수명에 저장하면 된다
int[] arr = new int[5]; 이렇게하면 된다!
다음 예시를 보면 이해하기 편할것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package myTest;
public class 배열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 = new int[5]; //타입은 정수이며, 크기가 5인 배열을 담아 arr변수에 저장한다.
arr[0] = 0; //배열의 첫번째 인덱스에 0을 저장
arr[1] = 1; //배열의 두번째 인덱스에 1을 저장
arr[2] = 2; //배열의 세번째 인덱스에 2을 저장
arr[3] = 3; //배열의 네번째 인덱스에 3을 저장
arr[4] = 4; //배열의 다섯번째 인덱스에 4을 저장
//첫번째 출력 방법
System.out.println("arr[0]의 값은 : " + arr[0] + "입니다");
System.out.println("arr[1]의 값은 : " + arr[1] + "입니다");
System.out.println("arr[2]의 값은 : " + arr[2] + "입니다");
System.out.println("arr[3]의 값은 : " + arr[3] + "입니다");
System.out.println("arr[4]의 값은 : " + arr[4] + "입니다");
System.out.println("---------------------------------------------------");
//두번째 출력 방법, 향상된 for문
for(int Arr : arr) {
System.out.println(Arr);
}
System.out.println("---------------------------------------------------");
//세번째 출력 방법, for문
for(int i = 0; i<arr.length; i++) {
System.out.println("arr[" + i +"]의 값은 :" + arr[i] + "입니다");
}
}
}
|
cs |
[콘솔 화면 ]
arr[0]의 값은 : 0입니다
arr[1]의 값은 : 1입니다
arr[2]의 값은 : 2입니다
arr[3]의 값은 : 3입니다
arr[4]의 값은 : 4입니다
---------------------------------------------------
0
1
2
3
4
---------------------------------------------------
arr[0]의 값은 :0입니다
arr[1]의 값은 :1입니다
arr[2]의 값은 :2입니다
arr[3]의 값은 :3입니다
arr[4]의 값은 :4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