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spring
Spring 의존성 주입 어노테이션
나태쿤
2021. 2. 13. 03:01
728x90
자주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을 설명하려한다
클래스위에 @Component를 설정하여 객체를 자동생성하는데
@Component("natae") 이런식으로 이름을 줄수있다.
그리고 이를 좀더 세분화하여 세가지 어노테이션을 사용할수있다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Service 클래스의 경우 @Service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처리하는 DAO 클래스의 경우 @Repository
사용자의 요청을 제어하는 Controller 클래스의 경우 @Controller
이 세 친구들도 이름을 줄수있다.
@Autowired
주로 변수위에 설정하고, 해당 타입의 객체를 찾아서 자동으로 주입한다
(어디서 만든걸 찾을까? bean설정으로 만들어진걸 메모리에서 찾는다.)
@Qualifier
특정 객체의 이름을 이용하여 의존성 주입할때 사용한다.
포인트는 이름이다, 같은타입의 객체가 두개 이상이여서 골라야하는상황에서 사용한다.
이름으로 골라주면된다
@Autowired밑에
@Qualifier("natae") 이런식으로
private NATAE natae; NATAE라는 객체가 2개이상 생성되었다면 그중
이름이 natae인 객체가 주입된다
@Resource
위의 두개를 더한 기능이다 , 이름으로 골라주면된다
@Resource(name="natae")
private NATAE natae;
요런식으로 쓰면된다
728x90